2019/02/26 - [황색문화/영화] - 실사화의 늪에서 길을 잃다. 上 투자와 벽 이 역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이야기로 '어느 가족'을 제작하면서 고레에다 감독은 후지TV의 지원과 투자를 받아서 힘겹게 영화를 촬영했다. 이제 일본에서 더이상 거대 영화사들은 오리지널 각본에 투자해주지 않으며 그나마 작품성을 보고 오리지널 각본에 한정된 예산을 어느 정도 지원해 영화를 제작해 주는 곳이 대형 민영방송사이자 최근 현 일본 정권과 은근히 성향적으로 대립중인 후지TV밖에 남지 않았고 그나마도 시나리오가 너무 많아서 승인이 잘 떨어지지 않았다. 오죽하면 칸 영화제 대상을 수상한 명감독 고레에다 히로카즈 역시도 2019년 개봉예정인 신작은 아예 프랑스에서 프랑스 자본으로 카르틴 드뇌브, 줄리엣 비노쉬, 에..
은혼, 강철의 연금술사, 진격의 거인. 이 작품들의 공통점은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일본에서도 매우 유명할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잘 알려진 만화이며 두 번째는 실사판 영화가 제작되었다는 것인데, 우리나라에서도 역시 오시이 마모루(押井守) 원작의 애니메이션으로 잘 알려진 인랑과 웹툰으로 잘 알려진 신과 함께의 실사화가 있었다. 이 결과들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똑같이 상당한 제작비를 들이고도 희비가 갈렸다. 강철의 연금술사, 죠죠의 기묘한 모험, 진격의 거인이라는 굵직굵직한 만화 원작을 가진 작품들은 모두 흥행에서 처참하게 실패했고 우리나라 역시 여러가지 의혹과 함께 영화판 인랑은 흥행실패를 맛보았다. 제대로 흥행했다고 할만한 성과를 올린 작품은 오구리 슌(小栗旬)과 하시모토 칸나(橋本環奈)를 필두로..
가끔 나는 '이야기의 순수함'에 대해서 고민한다. 대부분의 이야기가 인물의 과도한 물욕과 살의에서 비롯된다는 것은 사실 얼마나 부자연스러운가? 물론 세상에는 그런 사람도 있지만 내가 아는 한은, 그렇지 않은 인간이 훨씬 더 많다. 또한 '영화 같다'는 말은 대개 '현실 같지 않다'는 말로 쓰인다. 그러나 영화가 사실이나 현실에서 꼭 많이 벗어나야만 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 그런 의미에서 문명사회의 근본적인 문제, 그리고 가족과 이웃이라는 공동체에 대해 굉장히 사실적이고 현실적으로, 진심을 다해 접근하는 영화를 하나 소개할까 한다. 이 영화에는 컴퓨터 그래픽도, 상황과 인물을 설명하는 쓸데없는 대사도, 감정 과잉의 BGM도, 만들어진 안타고니스트도 없다. 바로 이라는 2018년산 영화다. 영화는 숲속에 ..
킬링 군터 (2017) 다큐멘터리의 형식을 띄고 있는 이 코미디 영화는, 엔딩 크레딧을 장식하는 Arnold Schwarzenegger의 컨트리송보다도 재미가 없다. 특색 있는 캐릭터들이 눈에 띄는 것 같다만 과장되고 부자연스러운 부조리는 차라리 시도하지 않는 편이 나았을 것이다. 또한 한 사람이 감독과 주연배우를 동시에 맡는 건 거의 미친 짓이다. 워렌 비티는 영화를 살리고 연기에 실패했지만 차라리 그 편이 낫지, 자기 캐릭터는 살리고 영화는 말아먹다니 대체 그건 무슨 짓이란 말인가? 러닝타임이 96분밖에 되지 않는데도 시간이 아까울 정도다. 대니 콜린스 (2015) 알 파치노와 존 레논 아니었다면 세상에 존재하지도 않았을 영화. 2019년이나 되어서 이런 이야기를 하기에는 늦어도 아주 많이 늦었지만 ..
2018년 12월 30일, 무프로리그(MPL) 시즌2 결승전이 성황리에 끝이 났다. 우리가 익히 아는 온게임넷이나 지금은 사라진 MBC게임 등 방송사가 아닌 김봉준이라는 개인 방송인이 주최하는 대회가 신한은행이라는 큰 기업의 후원까지 받으면서 여러 기업들의 스폰서를 유치하고, 아프리카TV를 통해 중계되었으며 오프닝 무대로 '스타 마니아'로 알려진 박완규 씨가 라이브를 하는 등 소위 '그럴싸한' 결승전 행사가 개최된 것이다. 나는 스타크래프트 1세대다. 스타크래프트가 발매된 1998년에는 고등학교 2학년이었다. 처음 스타를 시작한 곳은 방과후의 한 PC방이었다. 카운터에서 직원에게 게임 패키지 CD와 매뉴얼을 받아 하나씩 읽어가며 게임을 했다. 주로 친구들과 둘셋씩 편을 먹고 헌터 맵을 플레이했다. 그 무..
2001년 셸비 린 (Shelby Lynne) 셸비 린은 1995년 셰릴 크로우의 'Tuesday night music club'을 프로듀스한 기타리스트이자 프로듀서인 빌 보트렐의 프로듀스에 힘 입어 'I Am Shelby Lynne'을 1999년에 발표하였고 여러 히트 싱글을 내며 차트인한 성과로 2001년 빌보드 신인상의 명예를 얻었다. 그러나 이는 또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서고 말았다. 첫 번째로 'I Shelby Lynn'은 그녀의 여섯번째 앨범으로 신인 아티스트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가수 커리어 사상 처음으로 빌보드 200 메인차트에 오른 앨범이라는 이유로 NARAS 측은 우리나라 개념의 신인상이 아닌 당해 떠오르고 부각된 부분에 대해 수상한다는 해명을 내놓았다. 하지만 그럼에도..
2019년 첫 날 포털사이트 순위권에는 씨스타(SISTAR)의 해체 후 솔로 아티스트로 활동 중인 효린의 이름이 오늘 터진 블랙핑크 제니와 엑소의 카이의 특급 열애설보다 더 상위권에서 오래 머물렀다. 이유는 어제 있었던 '2018 KBS 연기대상' 2부 축하무대를 꾸민 효린의 보디수트 의상때문이었다. 처음은 연기대상 답게 드라마 '흑기사'의 OST '태엽시계'를 부르며 등장한 효린은 이어 솔로 무대인 '바다보러갈래 (SEE SEA)'와 '달리 (Dally)'를 선보였다. 이 무대에서 효린은 검은 모자와 은색 보디수트 의상을 입은채 화려한 안무를 선보였다. 하지만 늘 축하무대때마다 표정들이 어두운 배우들의 시상식이었는데다가 섹시한 효린의 안무와 굳어있는 배우들의 표정들을 번갈아가며 카메라에 잡았다. 게다가..
1995년 셰릴 크로우 (Sheryl Crow) 마이클 잭슨(Michael Jackson),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돈 헨리(Don Henley) 등 숱한 가수들의 백보컬을 도맡아온 중고신인 셰릴 크로우는 스팅의 프로듀서와 함께한 셀프타이틀 첫 앨범이 레이블의 결정으로 무산되는 좌절을 겪은 후 다시 음악적인 멘토이자 사귀던 남자친구인 기타리스트 케빈 길버트와 그의 지인들, 그리고 케빈 길버트의 친구인 프로듀서 빌 버트렐의 도움을 얻어 공식 첫 앨범으로 데뷔한다. 비록 서른셋이라는 늦은 나이에 데뷔앨범을 냈지만 그 누구도 예상치 못한 1995년에 뜬금없이 같은 앨범의 타이틀곡인 'All I Wanna Do'의 대히트로 캐나다와 미국을 포함한 북미권에서만 1천만장의 음반을 파는 대박을 이뤄..
바야흐로 연말, 시상식의 계절이 왔다. TV를 틀면 어딘가의 축하공연이나 가요제, 연기대상 시상식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오늘의 수상자가 어제의 시상자일 수도 있고 언젠가 고배를 마신 사람은 다시금 환하게 풀리는 때도 있는 것이 수상대에서의 일 아니었던가. 어떨 때는 누군가의 수상이 환영을 받지만 시간이 지나면 아쉬운 선택이라거나 편향적이라고 비난받을 수 있는 일이고 무관에 그친 누군가가 오히려 역사 속에 남는 경우도 존재한다는 것은 정말 역설적이면서도 그 누구도 어찌될 지 모르는 일이다. 당장 우리나라에서도 2008년 연기대상에서 김명민과 공동수상을 한 송승헌을 떠올려보자. 비난은 찰나일 수 있지만 기록은 영원하다고 했다.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그래미의 선택은 찰나이며 기록은 남았지만 비난 ..
볼링 포 콜럼바인 (2002) "And the greatest benefit of all, of terrorized public, is that the cooperating political leaders can get away with just about anything." 다큐멘터리는 재미없다는 편견을 마이클 무어의 을 관람하는 동안은 내려놓아도 될 것 같다. 말하고 싶은 주제가 충분히 진지해지기 이전까지 그는 온갖 바보들을 활용해서 관객을 즐겁게 해준다. 그는 엄청난 유머감각을 지닌 사람이며, 게다가 그가 무엇을 파헤치고 있는지를 생각해본다면 용기 또한 대단한 사람이다. 영화로서 지녀야 할 미덕은 차고 넘치도록 갖추었으니 두려워 말고 경험하기를 바란다. 대탈주 (1963) 러닝타임이 169분이나 되..
버드맨 (2014) 어떤 사람은 말한다. 영화는 연극의 연장선에 있다고. 그러나 그런 명제를 만족하려면 정도의 조건은 갖추어야 할 것이다. 쇼 비즈니스의 구성원, 배우, 아버지, 히어로, 전 남편 등 많은 이름이 주어진 마이클 키튼의 어깨가 무겁다. 사실을 말하자면 나는 롱테이크 무비를 보면 그 긴박감 때문에 긴장을 너무 많이 해서 불쾌감이 들 정도인데, 역시 그랬다. 왜 롱테이크 무비는 보고 있으면 좀 조마조마하지 않은가. 마이클 키튼의 캐릭터 역시 굉장히 조마조마하고 위태롭다. 또한 요즘 헐리우드가 히어로 프랜차이즈 때문에 미쳐 돌아가고 있다는 생각을 나만 하지는 않는 것 같아서 안도감 역시 느꼈다. 괜히 상을 많이 탄 영화가 아니다. 앵커맨2: 전설은 계속된다 (2013) 내가 그간 홍상수의 몇몇 ..
매직 인 더 문라이트 (2014) 키잡(키워서 잡아먹는) 마스터 우디 앨런의 시대착오적 사랑 이야기. 아마도 그 자신 역시 이 이야기가 시대착오적이라는 걸 알기 때문에 시대적 배경을 한참 전으로 설정했을 것이다. 게다가 흡입력도 없다. 어떤 평론가들은 이 영화가 아름답다며 칭송하더라. 나는 그런 것들에 대해 이해한다. 자기 인생에 가능성이 열려있던 시기에 경험한 대다수의 컨텐츠들은 그 컨텐츠를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니까. 아마 어떤 사람들에게는 우리 앨런이 그런 의미겠지. 이해는 하지만, 그건 다분히 주관적이다. 좋은 친구들 (1990) 얼마 전에 쿠엔틴 타란티노 관련 기사를 보다가 누군가가 타란티노는 남의 연출을 베낀 것으로 점철되어 있는 영화라는 글을 남긴 것을 보았는데, 내 생각에..